C# 변수란 무엇인가.
2023. 6. 27. 22:59ㆍC# 용어 공부
변수란 값을 구하면 그 값에 저장할 메모리가 필요한데 그 값을 담는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변수를 쓸때는 변수의 이름과 타입 그리고 값을 넣으면 된다.
예를 들면 int a = 2; 이런식으로 int 데이터 타입의 a란 변수가 2를 초기화 하는걸 볼수있다.
대체로 자주 쓰는 데이터 형식이 4가지가 있는데
int 정수형 데이터
float 실수형 데이터
string 문자열 데이터
bool 참 또는 거짓을 넣는 데이터
이렇게 볼수있다.
하지만 int나 float는 4바이트에 담을수있는 데이터 크기가 정해져있어서 그걸 넘으면 더 높은값을 담을수있는 long, dobule등 다른 데이터를 넣어줘야 한다 이건 나중에 더 자세히 이야기를 하겠다.
예
using System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System.Linq;
using System.Text;
using System.Threading.Tasks;
namespace ConsoleApp4
{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int a = 2; //정수형
float b = 0.3f; // 실수형
string c = "리터럴"; // 문자열
bool d = a == b; //참 거짓
Console.WriteLine(a); //리터럴 값
Console.WriteLine(b);
Console.WriteLine(c);
Console.WriteLine(d);
int ab;
ab = 2;
Console.WriteLine(ab);
}
}
}
저렇게 데이터 타입과 변수를 넣고 초기화를 한번에 할수도 있고 아래처럼 데이터 타입과 변수만 선언을 해놓고 값만 초기화 할수도 있다.
그리고 같은 타입이라면 변수를 한꺼번에 초기화를 할수도 있다.
예
using System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System.Linq;
using System.Text;
using System.Threading.Tasks;
namespace ConsoleApp4
{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int a = 5, b = 6, c = 7;
Console.WriteLine(a);
Console.WriteLine(b);
Console.WriteLine(c);
const int d = 6;
d = 7 //에러
}
}
}
그리고 밑에 const키워드가 있는데 상수라고도 한다.
데이터타입 앞에다 const키워드를 붙히면 이 값은 고정이되어 나중에 새로운 값으로 바꾸질 못한다
그래서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.
'C# 용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# 연산자(2) (0) | 2023.08.03 |
---|---|
C# 연산자(1) (0) | 2023.08.03 |
C# 숫자 이외의 데이터 형식 (0) | 2023.08.02 |
C# 숫자 데이터 형식 (0) | 2023.06.28 |
C#의 기본 문법 (0) | 2023.06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