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 6. 28. 21:32ㆍC# 용어 공부
전 포스팅에서 변수에 대해 이야기를 했는데 데이터타입에 int, float 이야기를 할때 데이터 크기의 대해 이야기를 했는데
더 자세하게 이야기를 하겠다 코드에선 계산 처리속도와 메모리 사용하는 크기가 중요한데 여기에서 데이터 형식들도 각각 값을 담을수있는 크기와 메모리 용량들이 정해져있다.
먼저 정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다.
정수 데이터에선 두가지로 나뉠수 있는데
+, - 가 부호가 있는 데이터 형식이 있고(signed) 부호 없이 +값만 다루는 데이터 형식이 있다(unsign)
부호가 있는 데이터 형식들은
sbyte == 1byte
short == 2byte
int == 4byte
long == 8byte
이 있는데 비트의 크기는 각각 2배씩 차이난다고 보면된다.
부호가 없는 형식은
byte
ubyte
uint
ulong
가 있고 똑같이 2배씩 차이난다고 보면된다.
부호가 없는 형식들은 마이너스가 없는대신 양수에서 부호가 있는 데이터 형식들보다 2배씩 값들이 크다고 보면된다.
using System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using System.Linq;
using System.Text;
using System.Threading.Tasks;
namespace ConsoleApp5
{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sbyte ibyte = 127; // -128까지 가능
short ishort = 32767; // -32768까지 가능
int iint = 2147483647; // -2147483648 까지 가능
long ilong = 9223372036854775807; // -9223372036854775808; 까지 가능
}
}
}
}
여기서 부호가 없는 형식들은 음수가 없는대신 두배더 높은 값을 넣을수 있다고 보면 된다.
float는 int와 같은 4바이트를 지원하고 System.Single로 원래 접근이 가능하다.
실수형 데이터는
float = 4byte
double = 8byte
decimal =16byte
하지만 실수형은 정수형과 달리 소수도 넣을수있지만 반대로 정수도 넣을수있다.
하지만 소수점이 붙었을때는 float는 f접미사를 넣어줘야하는데 이유는 안넣으면 double로 인식이 되면서 오류가 발생하기 된다.
'C# 용어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# 연산자(2) (0) | 2023.08.03 |
---|---|
C# 연산자(1) (0) | 2023.08.03 |
C# 숫자 이외의 데이터 형식 (0) | 2023.08.02 |
C# 변수란 무엇인가. (0) | 2023.06.27 |
C#의 기본 문법 (0) | 2023.06.27 |